어떻게 쓰나요?
1) 본문 붙여넣기 → 2) 간격·태그 옵션 고르기 → 3) 실행 (단축키: Ctrl/⌘ + Enter)
입력
옵션 & 실행
👉 팁: 자동 공백을 추가하지 않습니다. 공백이 필요하면 태그나 템플릿에 직접 넣어주세요. 예: 템플릿을 {TAG}
로 두면 태그 앞에 한 칸이 생깁니다.
FAQ
라인 기준과 바이트 기준, 뭐가 다른가요?
라인 기준은 줄 수(예: 30줄), 바이트 기준은 파일 크기(예: 1024바이트)로 간격을 계산합니다. 바이트 기준은 한글이 보통 3바이트(UTF‑8)라는 점을 고려합니다.
사람이 읽기 좋게 vs 정확한 바이트
읽기 좋게: 지정 지점 근처의 다음 줄 시작에 태그를 새 줄로 넣습니다. 정확한 바이트: 딱 해당 바이트 경계에 태그를 꽂습니다(문자 중간 분할 없음).
맨 앞에도 태그 삽입은 어떻게 되나요?
옵션을 켜면 결과 맨 앞(0바이트/첫 줄)에 템플릿 적용 태그를 먼저 넣고, 이후부터 간격 규칙대로 계속 삽입합니다. 중복 방지 ON이면 동일 태그로 이미 시작할 때 첫 삽입은 스킵합니다.
문장에 바로 붙여 삽입(줄바꿈 없음)은?
태그를 새 줄로 넣지 않고 해당 줄 끝에 바로 이어 붙입니다. 공백은 자동으로 넣지 않습니다. 공백이 필요하면 템플릿을 {TAG}
또는 {TAG}
처럼 지정하세요.
태그 뒤에 줄바꿈 추가
체크하면 태그 뒤에 엔터를 강제로 추가합니다. 인라인 삽입과 함께 쓰면 ...문장{TAG}\n다음줄...
형태가 됩니다.
삽입 서식(템플릿) {TAG}는 무엇인가요?
{TAG}
는 자리표시자입니다. 여기에 입력한 태그 값이 치환됩니다. 예: 템플릿 --{TAG}--
, 태그1 [A]
→ --[A]--
.
앞부분 건너뛰기(줄/바이트)는 언제 쓰나요?
머리말/표지 등 앞부분을 제외하고 그 다음부터만 태깅하고 싶을 때 씁니다. 줄 기준은 줄 수로, 바이트 기준은 크기로 스킵합니다.
중복 방지와 삽입 줄 트림
중복 방지: 같은 태그가 연속으로 겹치면 건너뜁니다. 삽입 줄 트림: 삽입되는 태그 줄의 앞뒤 공백을 제거합니다(본문 줄은 그대로).
줄바꿈(LF/CRLF) 맞추기는 왜 필요하죠?
운영체제마다 줄바꿈 코드가 달라 문서가 깨질 수 있습니다. 맥·리눅스는 LF, 윈도우는 CRLF를 주로 사용합니다. 한 가지로 통일하면 안전합니다.
태그 3개 로테이션 규칙
입력한 순서대로 태그1 → 태그2 → 태그3 → 태그1...
반복합니다. 비워둔 태그는 건너뜁니다.
설정이 저장되나요?
네. 브라우저 localStorage
에 자동 저장/복원됩니다. 초기화 버튼을 누르면 저장값도 지워집니다.
멀티바이트(한글 등) 안전한가요?
정확한 바이트 모드에서도 UTF‑8 문자 경계를 지켜 문자 중간을 절대 자르지 않습니다.
문의하기
사용 중 불편사항이나 제안이 있다면 이메일로 연락해주세요.
이메일: thenaom@naver.com